->기본적인 연산은 똑같다.
-> 씬뷰에서 여러가지 설정으로 씬을 볼 수 있음
-> 최소의 점으로 이루어진 면인 삼각형을 사용하는데, 삼각형들의 접선에서 약간 노이즈가 발생할수있는데 유니티는 이 선을 안쪽으로 집어넣어서 그 확률을 줄였다
->transform.Translate(Vector3.forward*mv*speed*Time.deltaTime); //
//http://devkorea.co.kr/bbs/board.php?bo_table=m03_qna&wr_id=17494
//delta time 개념
->파티클에서 필요한것만 뽑아 ㄴ내도됨
->파티클 인스펙터에서 원샷 체크하면 한번만 터짐(엘립소드 파티클 에미터)
->파티클 인스펙터 오토디스트럭터는 스스로 죽어라(파티클 앤니메이터)
->하이러키뷰에서 프로젝트뷰로 다시끌어올수있음. 원하는 폴더에 넣어놓으면 언제든지쓸수있다.
->스피어콜라이더에서 isTrigger 를 체크하면 콜라이더 자체가 트리거가됨.
->함수명은 void OnTriggerEnter()
->public으로 변수선언하면 불렛 인스펙터에 그 변수명이떠서 소스 연결시켜주면됨.
#소스
using UnityEngine; using System.Collections; public class csBullet : MonoBehaviour { public GameObject exp; // Use this for initialization void Start () { } void OnTriggerEnter() { Instantiate(exp,transform.position,transform.rotation); } // Update is called once per frame void Update () { float speed = 10.0f; transform.Translate(Vector3.forward*speed*Time.deltaTime); } };
기초설정은 콜라이더에 isTrigger 체크
'Unit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nity3D #7 (0) | 2015.01.13 |
---|---|
Unity3D #6 (0) | 2015.01.12 |
Unity3D #4 (0) | 2015.01.08 |
Unity3D #3 (0) | 2015.01.07 |
Unity3D #2 (0) | 2015.01.06 |